한마당 테마) 미래원자력기술관 >양성자가속기개발 및 건설
연구개발 배경
미국, 일본, 유럽선진국들은 기술개발의 한계를 느끼고 원자, 분자단위를 다루는 기술을 개발하지 않고서는 첨단기술을 개발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어 가속기를 경쟁적으로 만들어 첨단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양성자가속기개발사업은 양성자가속기 개발을 통해나노, 재료, 정보, 에너지, 환경, 생명, 의료 및 기초과학등 중요 국가과학기술 발전기반을 확충하고, 21세기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국가 산업경쟁력을 향상 시키고 공공의 복지증진을 위한 목적으로 2002년 21C프론티어사업으로 시작되었다.
사업목표
<양성자가속기연구센터 건설(경주건천, 2012.12)>
제1목표 : 100 MeV, 20 mA 선형 양성자가속기 개발,건조
제2목표 : 양성자 빔 이용기술과 가속장치 응용기술 확보
제3목표 : 국가핵심연구시설 구축 및 개발기술의 산업적활용
성과물의 우수성
양성자기반공학기술개발사업단에서 개발한 100MeV 양성자 선형가속기는 국내 기술로 개발한 국내 최초의 대용량 양성자 가속기임. 특히 저에너지 가속기인 대용량 RFQ는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성공한 기술임. 또한 사용자에게 20MeV 양성자 빔을 제공하기 위해 가속기 중간에 빔 인출 시스템을 둔 것이 특징임. 20MeV 및 100MeV 빔라인에서는 3개의 표적실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성자 빔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클라이스트론을 제외하고, 국내 산업체와 연계하여 가속기 관련 부품의 국산화를 90%이상 달성하였으며 , 세계 3번째로 100 MeV대용량양성자가속기를 2010년 12월에 개발에 성공하였다.
우리나라 가속기의 특징
1. 동시에 다수 이용자에게 빔 제공(세계최초)
2. 각 표적계에 고유특성의 양성자 빔 제공 (빔전류, 에너지, 펄스 가변모드)
3. mA급 대전류 양성자 빔 제공 - 산업적 활용 (동위원소, 반도체, 나노, 재료, 중성자원등)
□ 장치응용분야
① 300 keV급 이온주입장치 설계 및 제작
- 선진국수준의 장치기술력 확보
- 외국 제조사와의 제작비 비교 : 약 1/3이하 비용으로 국산화개발 성공
② 이용기날 내구성 향상 이온빔 표면처리 기술개발
- 국내특허등록, 미국, 일본, 독일 특허 출원
- 이용기날 수명향상 표면처리기술 이전 (이전기업 : 하성e-sis)
- 상용화 제품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수출
③ 자외선차단 이온빔 표면처리 기술개발
- 국내특허등록
- 자외선 차단 표면처리기술 이전 (이전기업 : (주)엑셀코리아)
- 2005년 대한민국기술대전 장관상 수상
④ 녹즙기 기어의 중금속 탈락 방지 표면처리 기술개발
- 국내특허등록
- 중금속 함유량 감소 및 착즙율/내구성 향상 표면처리기술 이전 (이전기업 : (주)그린파워캠포)
- 상용화 제품 일본 등 해외 수출
⑤ 보석발색기술 개발
- 국내 특허 등록, 중국특허 등록, 미국, 일본, 이태리 특허출원
- 블랙다이아몬드 제조기술 이전 및 시판 (이전기업 : 아자젬스)
⑥ 이온빔 조사에 의한 초친수 표면개질 기술개발
- 국내 특허출원
- 삼성전자와 기술이전 협의 중
⑦ 자동차 내장재 광택 및 내광성 표면처리 기술개발
- 국내 특허출원
- (주)신기인터모빌과 기술이전 협의 중, 2012년 말 시제품 생산
성과내용
<기술원리>
가속기는 양의 전하는 갖는 양성자를 전기장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높이는 장치임. 양성자 빔 안에 있는 양성자들은 같은 부호의 전하를 갖고 있으므로 반발력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양성자 빔을 집속시키기 위해서 전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함. 양성자사업단에서 개발한 가속기를 이용하면 100MeV의 에너지까지 양성자를 가속시킬 수 있는데, 이는 양성자가 빛의 속력의 43%의 속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함.
<성과내용>
가속장치개발분야(개발부)
* 100MeV 선형 양성자 가속기
- 첨두 빔전류: 20mA
- 에너지 100MeV
* 가속기 구성
- 입사기: 양성자 빔을 발생시켜 첫 번째 가속기에 입사시키는 장치
- RFQ: 양성자 빔을 3MeV (빛의 속력의 8%)까지 가속시키는 장치
- DTL: 양성자 빔을 20/100MeV (빛의 속력의 20/43%)까지 가속시키는 장치
* 빔라인
- 20MeV 빔라인 / 100MeV 빔라인
: 가속기에서 20MeV 빔인출이 가능하도록 시스템 구성
: 5개 표적실로 빔을 분배하도록 구성함.
: 특히 3개 표적실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
기대효과
양성자가속기를 활용하면 병충해에 강하고 맛좋은 채소의 신품종개량, 수술이 어려운 환자의 무통?무혈 암 치료장치 개발, 인공위성부품 우주 방사선 시험, 철보다 강한 플라스틱 등의 신소재 개발, 전력효율이 좋은 전력반도체생산, 암 진단 치료용 동위원소 대량 생산, 차세대 자동차용 연료전지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기술개발이 가능하다.
국가 원자력연구개발 성과한마당2012
2012 Nuclear Science & Technology Festival
주제 : 보다 안전하고 더욱 풍요로운 세상을 만드는 원자력연구개발
일시 : 2012. 8. 30(목) ~ 9.2(일) 4일간
장소 :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 A Hall 3,4
주최 : 교육과학기술부
주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연구재단
원자력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알수 있는 기회!!
오는 2012년 원자력에너지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고 원자력 대국민 축제의 장이 될 「국가 원자력연구개발 성과한마당2012」가 열립니다.
국가원자력연구개발성과한마당에 대해 더 자세한 부분은 아래에 블로그나 트위터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세요.^^
블로그 : blog.naver.com/nuclear2012
트위터 : twitter.com/NuclearRnD
홈페이지 : http://www.nuclearstfestival.com/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