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gust 4, 2012

한국 원자력연구원 주요연구성과


오늘은 한국 원자력연구원 주요연구성과에 대해 알아보도록해요

1987년
중수로 핵연료 국산화 , 원전 기술 자립 계획의 시발점으로 

1981년 
중수로 핵연료 국산화 사업에 착수,

1985년 
양산 기술 개발에 성공한 뒤 1987년 7월 양산을 개시, 
월성 원전에 공급하기 시작했습니다.

1988년
경수로 핵연료 국산화
중수로 핵연료에 이어 경수로 핵연료의 
설계 및 양산 기술 개발에 성공, 국내 가동 중인
모든 원전에 전량 국산 핵연료 양산 공급체제를 구축했습니다.


여기서 잠깐!, 경수로와 중수로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경수로와 중수로는 원전내 냉각재
 (원자로를 식혀주는 물질)와 
감속재(핵분열시 발생하는 중성자를 잡아먹는 물질)로 
무엇을 쓰느냐에 가장 큰 차이가 있습니다.
말 그대로 경수로는 경수를, 중수로는 중수를 사용합니다.
두 원자로는 모두 중수와 경수를 15기압 이상 압력을 
가해 쉽게 끓지 않게 만든다는 면에서 가압형인 셈입니다.
경수는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보통물인 반면, 
중수는 이보다 약 5000분의 1 정도 무겁습니다.
중수는 물을 이루고 있는 수소원자에 
중성자가 하나 더 있기 때문입니다.

1995년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자력 설계·건조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HANARO)를 자체 기술로 설계·건설 한 뒤, 
중성자 산란장치 등 다양한 이용 시설과 기술을 개발, 
세계 최고 수준의 다목적 연구로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1996년
한국표준형원전 개발
원자력 발전소 기술의 외국 의존에서 탈피,
우리나라 실정에 맞고 안전성을 향상시킨 한국표준형원전(KSNP,
현재 명칭 OPR1000)의 핵심 설비인 원자로계통을 설계함으로써,
원자력 기술 자립의 획을 그었습니다.



2001년
방사성 의약품 신약 ‘밀리칸주’ 개발
방사성 동위원소와 천연 고분자 물질의 화합물을 이용, 
수술 하지 않고 주사로 간암을 치료할 수 있는 
신개념 간암 치료제를 개발, 국내 신약 3호
(방사성 동위원소 신약 국내 1호)로 승인 받았습니다.


2002년
일체형 원자로 SMART 기본설계 완료
1997년 전력 생산과 해수담수화가 동시에 가능한 
일체형 원자로 SMART 개발 사업에 착수, 
2002년 원자로계통 기본 설계를 완성한 뒤, 
2007년 열출력 330 MW급 SMART의 개념설계를 완료했습니다.

1.일체형 원자로 SMART 설명:

2.일체형 원자로(SMART)는 왜 안전까?:



2003년
지르코늄 신합금 핵연료 피복관 개발
전량 수입에 의존해오던 기존의 핵연료 피복관보다 
부식 저항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높은 고성능 지르코늄
 신합금 ‘HANA(하나) 피복관’을 독자 개발했습니다.


2006년
KALIMER-600 개념설계 완료
안전성과 경제성, 자원재활용성, 
환경친화성 등을 획기적으로 높인 소듐냉각고속로 
개발을 위해 2006년 고유 개념의 600 MWe급 
중형 KALIMER-600 개념설계를 완료했습니다. 
KALIMER-600은 미래 원자력 시스템 국제 공동연구의 
참조 노형으로 선정돼 우수성을 인정받았습니다.


* 블로그지기 참고 포스팅


열수력 종합효과실험장치 ATLAS 구축
원자력 발전소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고와 고장을 실제 
압력과 온도로 모의할 수 있는‘가압경수로 열수력 
종합효과실험장치’ (ATLAS)를 구축, 
가동 중인 원전 및 새로 개발하는 신형 원전의 안전성 향상 및 운전
-사고관리 절차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ATLAS는 원자력발전소의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대부분의 사고를 실제 압력과 온도로 모의해서 
원자로의 성능과 안전성을 실험하는 시설로, 
국내 주력 원자로형인 한국표준형원전(OPR1000)과 신형경수로 (APR1400)의 설계 특성을 반영하여 제작되었습니다.

2009년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 건설사업 수주
요르단 정부가 발주한 5 MW 연구용 원자로 건설사업을 수주, 원자력 연구개발 반세기 만에 첫 원자력 시스템 일괄 수출을 기록하면서, 연구용 원자로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원자력 수출 산업화의 물꼬를 텄습니다.


2010년
냉중성자 연구시설 구축
연구용 원자로에서 생산한 중성자의 에너지를 낮춰 
생체 시료 구조 분석 등 나노-바이오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냉중성자 연구시설을 구축, 국내외 산·학·연 
연구자들에게 ‘이용자 시설’로 개방하기 시작했습니다.


2011년
대용량 선형 양성자 가속기 개발
양성자를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할 수 있는 100 MeV-20 mA 급 대용량 선형 양성자 가속기를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3번째로 개발, 가속기 기술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어제와 오늘 이틀동안 한국 원자력 
주요연구성과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
여러분 어떻게 보셨나요??
그동안 우리나라 원자력 연구원 여러분들의 
많은 수고와 노고가 있었고,
그에 따른 결과도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국가원자력 연구개발 성과한마당2012에 오시면 더 많은
한국 원자력 주요연구성과를 자세히 보실 수가 있으십니다 ^0^

국가원자력 연구개발 성과한마당 2012
기간: 2012.8.30~9.2
장소: COEX A HALL

No comments: